카카오페이 11만원→5만원 두달새 반토막 충격

카카오페이 두달새 반토막 난 진짜 이유와 대응법

카카오페이 두달새 반토막 난 진짜 이유

11만원에 산 주식이 두 달 만에 5만원이 된다면? 카카오페이 투자자들이 바로 이런 상황을 겪고 있다. 6월 고점 대비 55% 급락한 배경을 살펴보자.



교환사채 오버행이 만든 매도 압력의 실체

알리페이가 연속으로 교환사채를 발행하며 시장에 충격을 줬다. 사실상 블록딜 성격의 지분 매각으로 해석된다. 단기간 대량 물량 출회가 주가를 짓눌렀다.

  • 7월 3.55% 지분 교환사채 발행
  • 9월 8.62% 지분 추가 교환사채 발행
  • 교환 기간 11월12일~12월19일 설정
  • 교환가액 5만4014원으로 5.7% 할인
  1. 실질 유통 주식 16.2%에 불과한 상황
  2. 대차 대상 주식 12.6%가 시장 유입 예정
  3. 기존 유통 주식 77.7% 규모 공급 압력
카카오페이 주가 변동 추이
시점주가변동률
6월 고점11만4000원-
9월 현재5만1500원-54.8%
교환가액5만4014원-52.6%
교환사채 투자 리스크 더 보기

김범수 사법 리스크가 가중한 투자심리 악화

카카오 창업주의 SM 시세조종 의혹으로 검찰이 징역 15년을 구형했다. 카카오그룹 전체에 거버넌스 리스크가 확산됐다. 금융 신사업 추진에도 불확실성이 커졌다.

  • SM 시세조종 혐의로 징역 15년 구형
  • 카카오그룹주 전반 투자심리 위축
  • 스테이블코인 사업 예측 가능성 하락
  • 금융 관련 신사업 확장 차질 우려
  1. 재판 진행 상황 주기적 확인
  2. 그룹 차원 거버넌스 개선 방안 점검
  3. 신사업 추진 일정 변동 사항 모니터링


연말까지 이어질 수급 부담과 대응 전략

신한투자증권은 연말까지 수급 부담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단기 상승 모멘텀이 사라진 상황에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펀더멘털 개선 신호를 기다려야 한다.

  • 12월까지 교환사채 교환 기간 지속
  • 주가 리레이팅 구간에서 지분 출회 부담
  • 단기 상승 동력 소멸로 관망세 확산
  • 실적 개선 없이는 반등 어려운 상황
투자 판단 체크 포인트
요인현재 상태전망
수급악화연말까지 부담
사법리스크진행중불확실
사업전망보통개선 필요
밸류에이션조정저평가 구간


카카오페이의 급락은 교환사채 오버행과 사법 리스크가 겹친 결과다. 연말까지 수급 부담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투자 검토 시 재판 결과와 교환 기간 종료를 기다리는 것이 현명하다. 단기 반등보다는 중장기 관점에서 펀더멘털 개선 여부를 지켜봐야 한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

POST ADS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