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종부세 납부기간·기준, 1주택 vs 다주택

2025 종부세 납부·기준: 1주택 vs 다주택

종부세, 납부기간, 공제기준

2025 종부세 납부·기준: 1주택 vs 다주택

작성 기준일 2025-09-06

종부세는 매년 12월 1–15일에 납부하며, 과세 기준일은 6월 1일입니다.

  • 2025년 납부기한: 2025-12-01~2025-12-15(월요일 종료)
  • 공제: 주택 1주택 12억 원·다주택 9억 원 / 종합합산 토지 5억 원 / 별도합산 토지 80억 원
  • 세액 250만 원 초과 시 분납 가능

해마다 세금 일정이 촘촘합니다. 5월 종합소득세, 6–9월 지방세를 거치고 12월에 종부세를 마무리하죠. 2025년엔 납부 기간이 12월 1일부터 15일까지로 확정됩니다. 기준일은 6월 1일이므로, 그 이후에 부동산을 처분했다면 같은 해 12월 과세가 생길 수 있어요.

핵심 지표(기준: 2025-09-06)
항목수치(단위)맥락/해석
납부기간2025-12-01~12-15(일)휴일이면 익영업일이지만 2025-12-15는 월요일
과세 기준일매년 06-01기준일 이후 매도라도 해당 연도 과세 가능
주택 공제1주택 12억 / 다주택 9억(원)초과분 과세, 보유 형태에 따라 차등
토지 공제종합합산 5억 / 별도합산 80억(원)용도 구분에 따라 공제액 상이
분납 요건세액 250만 초과(원)일부 금액을 나누어 납부 가능
공정시장가액 비율(주택)현재 60%(변동 가능성 보도)과표 산정에 직접 영향, 향후 80% 논의 기사 존재

배경·현황

종부세는 고가 주택·토지를 광범위하게 포괄합니다. 2025년 납부 창구는 12월 1–15일로 열리고, 6월 1일 보유 현황이 과세 판단의 출발점이죠. 지금 할 일은 보유 자산의 공시가격과 공제액을 먼저 대조하는 일입니다.

  • 주택: 1주택 12억 원, 다주택 9억 원 공제 적용(2025년 기준).
  • 토지: 종합합산 5억 원, 별도합산 80억 원 공제. 용도 구분을 정확히 확인하세요.

기준일 이후 매도 사례

6월 10일에 주택을 넘겼다면요? 기준일은 6월 1일이라 해당 연도 과세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납부 시점은 12월입니다.

Q. 납부기한이 휴일이면?

A. 다음 첫 영업일이 기한이 되지만, 2025-12-15는 월요일입니다.

원인·수치

세액은 과세표준×세율 구조이고, 과세표준 산정에 공정시장가액 비율이 개입합니다. 주택분은 현재 60%가 쓰이며, 80% 상향 보도가 있어 결과값 변동 가능성을 거론할 여지가 있습니다. 지금 확인할 포인트는 공시가격, 공제액, 비율 세 가지입니다.

  1. 공시가격 확인: 공동주택 공시일과 단위(원) 재확인.
  2. 공제액 적용: 1주택 12억 / 다주택 9억 / 토지 5억·80억 구분.
  3. 비율·세율 반영: 주택분 60%(보도상 상향 논의 존재) → 과표 → 세율표 적용.

Q. 세액이 큰데 한 번에 내야 하나요?

A. 세액이 250만 원을 넘으면 분납할 수 있습니다.

해석·점검

핵심은 “기준일·공제·비율” 삼각형입니다. 기준일(6월 1일)이 보유 판단을, 공제액이 과세 범위를, 비율이 과표 크기를 좌우합니다. 다음 점검표로 빠르게 확인하세요.

  • 보유형태: 1주택/다주택/법인 등 구분
  • 공시가격 합산액(원)과 공제액 차이
  • 주택분 비율(현재 60%) 반영 후 과표 추정
자주 묻는 질문

Q. 6월 1일 이전에 판 경우는요?

A. 기준일 전에 처분했다면 해당 연도 종부세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실제 판정은 보유 현황과 합산액으로 결정됩니다.

Q. 다주택과 1주택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A. 공제액이 다릅니다. 1주택 12억 원, 다주택 9억 원을 공제하고 초과분에 과세합니다(원 단위, 2025년 기준).

모든 수치는 2025-09-06 기준입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

POST ADS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