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소비쿠폰 기준 총정리: 1인가구 7,450만원

작성 기준일:

대한민국 데이터 기준일 2025-09-12

소득 상위 10%를 제외한 국민께 1인당 10만원을 지급하며, 직장 1인가구는 건보료 22만원(연 소득 약 7,450만원) 이하가 대표 기준입니다.

  • 자산 제외선: 재산세 과세표준 합계 12억원 초과 또는 2024년 귀속 금융소득 합계 2,000만원 초과 가구 제외.
  • 선정 기준일: 2025-06 부과분 가구별 건보료 본인부담 합산액 기준, 가구 구성은 2025-06-18 주민등록표 기준.

읽을 이유: 경계선 가구가 체크할 항목과 절차(맞벌이 +1 보정, 사전 안내, 이의신청)를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핵심 지표 한눈에 보기

지급액
1인당 10만원 · 2025-09-12 발표
직장 1인가구 기준
건보료 22만원(연 약 7,450만원) · 2025-06 부과
외벌이 4인가구 기준
건보료 51만원(연 약 1억7,300만원) · 2025-06 부과
자산 제외선
재산세 과세표준 합계 12억원 초과 또는 금융소득 2,000만원 초과 · 2024 귀속·2025-09-12 기준
사전 안내
국민비서 2025-09-15 시작 · 대상·방법 안내

모든 수치는 기준일과 단위를 명확히 표기했습니다.

누가 포함되나: 상위 10% 제외 후 2025-06 건보료로 판정

정부는 2025-09-12 기준으로 소득 상위 10%를 배제하고, 남은 국민을 가구별 건강보험료 본인부담 합산액으로 선별합니다. 먼저 고액 자산가를 제외한 뒤(재산세 과세표준 합계 12억원 초과 또는 2024년 귀속 금융소득 합계 2,000만원 초과), 2025-06 부과분 건보료를 적용합니다. 가구 구성은 2025-06-18 주민등록표를 기준으로 하며, 피부양자 여부와 거주지 분리에 따른 예외가 존재합니다.

  • 배우자·자녀: 주소지가 달라도 피부양자면 같은 가구로 간주.
  • 부모: 피부양자라도 별도 가구로 산정.
  • 맞벌이 부부: 원칙상 별도 가구이나, 합산 보험료가 유리한 경우 동일 가구 인정 가능.

얼마가 기준인가: 가구유형별 건보료 금액과 보정 규칙

대표 구간은 직장 1인가구 22만원, 외벌이 4인가구 51만원입니다. 맞벌이와 같이 소득원이 여러 개인 경우에는 형평성 보정을 위해 가구원 수에 +1을 더해 비교합니다. 지역·혼합 가구도 2025-06 부과 금액으로 판단하며, 경계선에 있는 경우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앱에서 본인부담 건보료를 먼저 확인하신 뒤 안내 절차를 따르시면 됩니다.

직장가입자 예시
1인 22만원 · 2인 33만원 · 3인 42만원 · 4인 51만원 · 5인 60만원(2025-06 부과)
지역가입자 예시
1인 22만원 · 2인 31만원 · 3인 39만원 · 4인 50만원 · 5인 59만원(2025-06 부과)
혼합가구 예시
2인 33만원 · 3인 42만원 · 4인 52만원 · 5인 62만원(2025-06 부과)
보정 규칙
맞벌이 등 다소득원 가구는 가구원 수 +1로 기준 적용

경계선 가구 점검: 확인 절차·이의신청·일정 체크포인트

경계선에 있는 가구는 3단계로 확인하면 안전합니다. 첫째, 2025-06 부과분 본인부담 건보료 합산액을 조회합니다. 둘째, 가구 기준일(2025-06-18)과 피부양자 관계를 재확인합니다. 셋째, 2025-09-15부터 제공되는 사전 안내를 통해 대상 여부와 신청 방법을 확인합니다. 결과가 모호하면 이의신청 또는 건보료 조정신청으로 보완할 수 있습니다.

  • 체크: 자산 제외선 충족 여부(재산세 과세표준·금융소득)와 2025-06 건보료 금액.
  • 주의: 가구원 변동(전입·전출·피부양자 변경)이 있는 경우 기준일 적용에 따라 판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자주 받는 질문: 우리 집이 해당될까?

1인가구 직장가입자는 어디까지 포함되나요?

2025-06 부과 기준 본인부담 건보료가 22만원 이하면 포함 가능성이 높습니다. 자산 제외선(재산세 과세표준 합계 12억원 초과 또는 2024년 귀속 금융소득 2,000만원 초과)을 동시에 충족하지 않아야 하며, 2025-06-18 주민등록표의 가구 구성을 기준으로 합니다.

맞벌이 4인가구는 어떤 기준을 적용하나요?

맞벌이 등 다소득원 가구는 가구원 수 +1 보정을 적용해 기준을 비교합니다. 예컨대 4인 가구라면 보정 후 5인 기준을 참고하게 되며, 혼합가구일 경우 2025-06 부과 혼합가구 기준 금액(예: 5인 62만원)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2차 소비쿠폰 건강보험료 기준 소득 하위 90% 국민비서 안내